1.좋아요, 북마크 기능 구현 시 postmapping으로 구현하는 게 맞는지와 db에서 어떤 방식으로 처리하는지

→ 처음에는 데이터가 insert기 때문에 post로 한다. 하지만 등록된경우 update도 가능 2.새로운 알림기능 같은 경우는 어떻게 구현해야하는지

→ fcm(firebase cloud message) 3.공지사항은 보통 백엔드나 프론트 어디서 구현하는지. 만약 백엔드라면 어떤식으로 해야하나

→ db에 공지사항 테이블을 만들어서

4.회원가입 하는 부분을 UMC강의에 있는 내용을 참고해서 만들려고 하는데 어떤 방식으로 만들어야 되는지

→jwt에 로그인 유지하는 기간을 정할 수 있다.

5.로그인 유지하는 방법을 어떤 방식으로 처리해야하는지

→ 자동 로그인 api(토큰 검증 api) → 토큰을 가지고 있는 경우

추가적으로 알림,설정 기능을 백엔드에서 어떻게 해야될지 감이 안잡힙니다…

→설정에서 선택할 내용들을 유저의 칼럼으로 추가해 알림기능으로 처리

페이징 기능

1.좋아요, 북마크 기능 구현 시 postmapping으로 구현하는 게 맞는지와 db에서 어떤 방식으로 처리하는지

좋아요, 북마크 처음 추가시 DB에 데이터가 insert되므로, post방식이 맞지만, 이후 좋아요나 북마크를 취소하고, 다시 요청하는 경우엔 데이터가 update되므로 patch방식이 아닐까? 싶을거에요! 결론은 둘다 상관없습니다. 저는 post방식으로 구현했습니다.

2.새로운 알림기능 같은 경우는 어떻게 구현해야하는지

인스타그램으로 치면 내 게시글에 댓글, 좋아요가 달렸을때 앱푸시알림이 오는 기능 말씀하신게 맞을까요?

맞다면 알림이 오길 원하는 작업 (댓글달기, 좋아요 등)이 진행될때(DB update 등) 메세지알림(FCM 등)를 보내는 로직을 넣어주면 됩니다! FCM 관련해서는 구글링 해보시고 질문있으시면 나중에 추가로 질문해주세요~

3.공지사항은 보통 백엔드나 프론트 어디서 구현하는지. 만약 백엔드라면 어떤식으로 해야하나

프론트에서 구현하게되면, 프론트단 배포가 완료되기 전까지 공지사항을 업데이트 할 수 없습니다. iOS라면 앱스토어 심사가 완료되어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시점에 공지사항이 업데이트 됩니다. 앱의 경우 사용자가 업데이트를 하지 않을 수 있고, 관리자가 원하는 시점에 공지사항을 올리기 위해서는 백엔드에서 구현을 해야합니다.